"거의 최종 결말수준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소설을 읽으실 분들은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. 당장." 1. 그 희망마저 없다면, 모두가 똑같이 허름한 집에서 살면서 똑같은 학교를 다니고 똑같은 발전소에서 똑같은 일을 하는 이 관성적인 삶을 하루도 더 버틸 수 없을 테니까. -p.26 → 좀 오그라드는 표현일 수도 있지만 예술가의 혼을 가진 사람들은 유독 더 이런 경우가 많은거 같다. 나 역시 마찬가지고. 남들처럼 그저그런 하나의 부속품으로 살고 싶지 않고 '나'란 사람을 알리고 그를 통해 자아성찰을 실현하는 사람들. 관종하고는 좀 다른 느낌인거같다. 나도 한때 관종으로서 살아본 경험에 의하면.. 2. 내 인생에서 다시는 없을 최고의 일 년이 지금 내 앞에 펼쳐져 있구나, 하는 미친 생각이 들고 말..
1. 두두두두. 우리 집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들으면 백 년 전에 죽었던 사람들이 찾아와 마구 두드리는 것만 같다. -p.22 → 이런 발상 자체가 놀라기도 했으며, 나 또한 그 양지화원 안에 있는 거 같은 기분이 들어 더 기억에 남는 문장이였다. 2. 그런데 장우는 뭔가 복잡한 관계를 매우 쉽게 말했다. 도대체 집집마다 뭐가 이렇게 복잡한 것일까. -p.40 →장우네 가정사는 부모님이 이혼하시고 각각 재혼하셨다. 사실 어른입장에서 봤을땐 '이게 무슨 문제야? 흔한일 아니야?' 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아이들 입장에서는 충분히 큰 문제다. 하지만 동화 속에서 장우는 되게 덤덤하게 말한다. 그에 대한 현성이의 생각이 나오는 부분인데, 나도 생각해보면 현성이보단 장우쪽이였던거 같다. 내가 살면서 첫 기억이라..
1. 사람에 대한 연구가 소설을 쓰는 데 필요한 동력과 연료를 제공해주죠. -p.34 → 이거는 인상깊었다기보다 공감이 되서 인덱스를 붙여두었다. 예전에 연기레슨받을 때도 사람들 관찰해서 그걸 문서화 한 적도 있었고 또 현재 친구가 웹소설 작가인데 나도 한 번 해보면 어떻겠냐고 꼬득이는 중이라 더욱 눈길이 갔다. 사실 과거에 무게타란 곳에서 소설 몇 편을 연재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내 글을 읽고 혹평하는 독자도 있었지만 응원해주는 이도 적지 않아서 글쓰기란 나에게 꽤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있다. 다만, 현재 나이들고 이미 메말라버린 감정으로 예전만큼이라도 쓸 수 있을지가 걱정이라 고민된다. 글쓰기는 꽤 부지런함을 요구하는 작업이기때문에 과연... 2. 언젠가 악몽은 끝나게 되어 있었다. -p.37 → 이..

1. 바로 그거예요, 그게 가장 중요해요, 피숑 씨. 삶의 양이 아니라 질이. -p.46 → 비록 본문에서는 비꼬는 말로 쓰였지만, 좋은 말이라고 생각한다. 몇 년 전의 내가 살았던 방식이기도 하다. 하지만 요즘엔 그런 중요한 기본조차 망각하며 현실에 급급해하며 살아가고 있는 나 자신에 대한 어떤 복잡한 마음으로 살아가고있다. 2. 각자 자신이 특별하다고 유일무이하다고 믿지만 실은 누구나 정확히 똑같죠. -p.54 → 이 말에 나도 독립적일 수가 없다. 어렸을 때는 진짜 내가 뭐라도 되고 세상 사람들이 다 나를 좋아해줄 줄 알았다. 하다못해 제일 처음에 되고 싶었던 게 대통령이였으니 말 다했지 뭐.. 3. 어떤 일이 어려워서 하지 말아야 하는 게 아니라 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운 거예요! -p.133 → ..
1. 말하는 법을 단 하루만에 바꿀 수 있다면, 듣는 법은 단 1분이면 바꿀 수 있습니다. -p.6 2. 의사소통에 있어서 말하는 것보다는 듣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. -p.7~8 3. 상대가 "이 사람과 대화하면 즐거워!"라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다면, 나의 인생은 반드시 좋은 방향으로 흘러갑니다. -p.13 4. 상대를 위한다는 마음으로 이야기를 들으면, 상대는 절대 불쾌한 기분이 들지 않습니다. -p.21 5.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나의 지식, 견문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입니다. -p.25 6. 머리가 좋은 사람은 이해도 빠르기 때문에,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끝까지 듣는 것을 괴로워합니다. -p.30 7. 자신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상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, 다가가는 자..